희망찬 2006년을 준비하기 위한
지친 한 해 몸과 마음의 찌꺼기 비우는 단식...
“1주일의 단식은 피를 정화하고,
2주일의 단식은 뼈를 정화하며,
3주일의 단식은 마음을 정화한다.”
(이슬람교 창시자 무하마드)
알 수 없는 오류로 컴퓨터가 작동하지 않을 때가 있다. 이럴 때 리셋버튼을 눌러 컴퓨터를 껐다가 다시 시작하면 웬만한 문제는 해결된다. 그런데 어떤 이들은 ‘단식(斷食)’을 ‘몸의 리셋(reset)버튼 누르기’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단식은 원래 ‘특정한 목적을 위해 일정 기간 음식 섭취를 끊는 일’을 말한다. 인간의 가장 근본적 욕구인 식욕을 스스로 절제하는, 웬만큼 모질고 독하지 않으면 하기 힘든 행위다. 그래서 단식은 결연한 의지를 표현하는 최후의 수단으로 사용돼왔다. 독립을 요구하며 영국에 단식으로 맞선 인도의 간디가 대표적이다.
종교계에서는 단식을 수행으로 본다.
이렇게 절박한 저항 수단이자 종교적 수행으로 여겨지던 단식이 ‘민가’로 내려와 살빼기 수단이 되고 있다. ‘단식=다이어트’라는 단순 공식은 틀리지는 않지만 정확하지도 않다. 단식은 우리가 가지고 태어났지만 잊고 지냈던, 자기 스스로 치료하는 능력을 회복하는 수단이다. “배고픔은 인간이 느낄 수 있는 가장 큰 고통입니다. 우리 몸은 단식을 ‘비상사태’로 인식합니다. 잠들어있던 자율신경이 깨어납니다. 그리고 엄청나게 민감하고 격렬하게 반응합니다. 생존에 필요한 최소한을 제외한 모든 불필요한 요소들을 버리기 시작합니다. 이 과정에서 그 동안 몸에 쌓였던 노폐물과 독소들이 몸에서 빠져나갑니다.”(경희의료원 한방재활의학과 신현대 교수)
단식은 몸을 정화하는 치료법으로 보아야 더 정확하다. 단식을 하면 몸이 가벼워진다. 영양 과잉과 불규칙한 식사로 헝클어진 식습관이 제자리로 돌아온다. 만성 피로, 피부 트러블, 장염, 알레르기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 물론 단식으로 모든 병을 치료할 수는 없다. 컴퓨터에 치명적 결함이 생겼다면 리셋 버튼을 누른다고 해결되지 않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2005년을 되돌아본다. 지난 일 년, 나는 나의 몸을 잠시라도 쉬도록 배려했던가. 2006년이 사흘 앞으로 다가왔다. 리셋 버튼을 눌러주자. 몸의 요소요소가 제 기능을 회복한 건강한 몸으로 새해를 맞자.
1. 단식의 효과
내장기능이 강화된다
몸이 가벼워진다
혈액이 맑아진다
면역력이 증가된다
스트레스에 강해진다
변비가 사라진다
숙면을 취하게 된다
정력이 증가된다
피로회복이 빠르다
체질이 개선된다
기억력이 증가한다
2. 단식 중 신체반응
입,몸에서 냄새가 난다
혀에 하얀 설태가 낀다
소변이 탁하다
머리가 아프거나 어지럽다
축농증 환자는 코에서 고름이 흐른다
구토와 메스꺼움이 나타난다
짜증이나 화를 쉽게 낸다
## 몸이 정화되는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정상적 반응들이다. 하지만 증상이 심하면 반드시 의사에게 상의한다.
3. 이런 사람, 단식 피해라
체력이 약한 사람
아동, 노인, 임산부
열이 있는 환자
위궤양이 있는 사람
결핵환자, 감염환자
관절염 등으로 스테로이드제를 오래 복용한 사람
부정맥고혈압당뇨 등 만성병 환자
뇌졸중심근경색암 등 중환자
4. 준비식기,회복식기에 이런 음식 안되요 !!
소금, 튀김, 인스턴트식품, 커피, 술 빵, 국수
## 바쁜 현대인을 위한 간단한 1일 단식법 ##
1.토요일(준비식기): 하루 2끼 섭취한다.
점심은 죽1/2공기, 저녁은 미음 1/2공기로 식사량 감소.
저녁에는 관장약을 먹는다. 구충약을 함께 먹어도 좋다.
2.일요일(단식기): 물만 천천히 조금씩 자주 마신다.
감잎차 등 약차(藥茶)도 좋다.
비타민, 미네랄 공급효과가 있다.
3.월요일(회복식기): 하루 2끼를 섭취하되, 준비식기와 반대
점심은 미음 1/2공기, 저녁 죽 1/2공기로 식사량 증가
갑자기 많이 먹으면 위험할 수 있다.
|